유성우
가장 유명한 유성우 10
👇
10대 유명 유성우 비교 표
이름 | 절정시기 | 특징 |
---|---|---|
페르세우스자리(Perseids) | 8월 중순 | 밝고 풍성, 여름 최고 인기 |
쌍둥이자리(Geminids) | 12월 중순 | 색색의 굵은 유성, 최대 활동량 |
사분의자리(Quadrantids) | 1월 초 | 짧고 폭발적인 활동 |
거문고자리(Lyrids) | 4월 하순 | 역사 오래, 밝은 유성 다수 |
사자자리(Leonids) | 11월 중순 | 유성우 대폭발(Storm)로 유명 |
오리온자리(Orionids) | 10월 하순 | 할리 혜성 잔해, 빠르고 밝음 |
에타 물병자리(Eta Aquarids) | 5월 초 | 남반구 중심, 할리 혜성 유래 |
드라코자리(Draconids) | 10월 초 | 뜨거운 폭발 가끔 발생 |
델타 물병자리(Delta Aquarids) | 7월말~8월초 | 서서히, 남반구에서 뚜렷 |
우르시즈자리(Ursids) | 12월 하순 | 소규모, 연말 겨울밤 유일 유성우 |
이 10대 유성우는 매년 하늘을 수놓으며, 각기 다른 시기와 특색을 지니고 있어서 전 세계적으로 천문애호가들과 일반인 모두에게 사랑받는 천문 이벤트입니다.
가장 유명한 유성우 10가지
-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Perseids)
매년 8월 중순 절정. 가장 널리 알려진 인기 유성우로, 시간당 많게는 100개 이상의 밝은 별똥별이 보임. 여름철 관측이 쉬움. - 쌍둥이자리 유성우(Geminids)
12월 중순 절정. 색색의 밝고 굵은 유성들이 특징이며, 시간당 120개 이상으로 '유성우의 왕'으로 불림. - 사분의자리 유성우(Quadrantids)
1월 초 절정. 날씨만 좋다면 짧은 시간에 시간당 100개가 넘는 유성을 볼 수 있음. - 거문고자리 유성우(Lyrids)
4월 하순 절정. 2천 년 가까운 관측 역사를 가진 오래된 유성우. 때때로 밝은 유성이 길게 지나감. - 사자자리 유성우(Leonids)
11월 중순 절정. 1833년, 1966년, 2001년 등 대폭발(시간당 수천~수만 개)로 유명한 역사적인 유성우. - 오리온자리 유성우(Orionids)
10월 하순 절정. 할리 혜성의 잔해로 만들어지는 유성우. 빠르고 예리한 별똥별이 다수. - 에타 물병자리 유성우(Eta Aquarids)
5월 초 절정. 남반구에서 특히 잘 보임. 할리 혜성과 연관 있음. - 드라코자리 유성우(Draconids)
10월 초 절정. 가끔 대폭발이 일어나며 일몰 직후 관측 가능. - 델타 물병자리 유성우(Delta Aquarids)
7월 말~8월초 절정. 남반구에서 관측이 유리하며, 유성우가 수일간 느리게 이어짐. - 우르시즈자리 유성우(Ursids)
12월 하순 절정. 겨울철 볼 수 있는 소규모 유성우지만, 해가 바뀌는 연말 밤에 볼 수 있어 특별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