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aek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 비교

용비어천가 vs 월인천강지곡

내용, 사료 가치 비교

👇

월인천강지곡 내용 바로가기 👉


용비어천가와 월인천강지곡 비교

용비어천가와 월인천강지곡 비교

1. 제작 시기

  • 용비어천가: 1445년 착수, 1447년 완성 및 간행
  • 월인천강지곡: 1447년 간행

2. 내용 및 목적

  • 용비어천가: 조선 왕조 건국의 정당성 선포와 찬양, 6대 조상(목조~태종)의 행적을 서사적으로 노래함. 국가의 통치이념 정립이라는 공식적 목적.
  • 월인천강지곡: 석가모니의 일대기와 공덕을 찬양하는 불교적 서사시. 세종이 소헌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한 사적인 목적에서 창작. 불교적 색채가 강함.

3. 구성 및 형식

  • 용비어천가: 총 125장(서사-본사-결사), 2행 연시(二行聯詩) 형식, 한글과 한문(한시, 주해) 병기.
  • 월인천강지곡: 상·중·하 3권(현존 상권 194장), 각 장이 2구 4음보 운문, 한글 큰 글자와 한자 작은 글자 병기, 한글 중심의 순수 노래. 한시 부기 없음.

4. 특이사항 및 의의

  • 용비어천가: 한글 창제 직후 최초의 한글 문헌, 국문시가의 효시, 국가적 사업으로 제작, 왕조 정통성 강조.
  • 월인천강지곡: 최초의 한글 활자본, 불교 서사시로서 개인적·신앙적 동기, 조선 전기 한글 표기법 연구에 중요, 악장(樂章) 형식의 완성.

5. 비교 표

항목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
제작 시기 1445년 착수, 1447년 완성 1447년
제작 동기 조선 왕조 정당성 선포, 국가적 목적 소헌왕후 명복, 불교적·개인적 목적
주요 내용 6대 조상 행적, 왕조 서사 석가모니 일대기, 불교 서사
구성 총 125장, 서사-본사-결사, 2행 연시 상·중·하 3권(현존 상권 194장), 2구 4음보 운문
표기 및 형식 한글과 한문(한시, 주해) 병기 한글 큰 글자, 한자 작은 글자 병기, 한글 중심
특이사항 최초 한글 문헌, 국가적 사업, 국문시가 효시 최초 한글 활자본, 불교적 색채, 한글 표기법 연구에 중요
공식적/사적 성격 공식적(국가적) 사적(개인적, 신앙적)